The Series of Unrespected Death Ⅲ
Lan’s Diary, 2011
Supported by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Title: Lan’s Diary
-Production: Theater SALAD (www.salad.or.kr)
-Concept/Writer/ Director: Park Kyong Ju
-Choreography: Yuko Kaseki
-Music: Wolfgang in der Wiesche
-Media diretor: Sungsuk Suk
-Stage & Costume Design: Park Kyong Ju
-Cast: Lorna de mateo, Dashima Prub, Gewha Kim, Byungsun Rue, Ariun Jargal
-Duration: 90min.
-Premiere: 2011.Mai. 22. (Box Theatre of Seoul Art Space_ MULLAE)
-Light director: Jae-sung Lee
-Make-up: Terra Hoyoo
-Translation: Hayan Jeon
-Supported by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Introduction
“Lan’s diary”, an experimental theatre, shows how painful and unstable life a Vietnam woman lived in Korea where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lacks and paternalism is prevalent through her diary that she had written before she died. By doing so, the theatre tries to tell stories of migrant women who died after they came to Korea. Diverse instruments such as music, performance, objet, video, and recording are used in the theatre but it will not show any images of ‘oppressed persons’ such as ‘poor woman’ or ‘victim.’ Rather, ‘Ran’s diary’ discloses how ‘fantasy of men’ and ‘fantasy of women’ are entangled with each other under anti social system, ‘marriage through international brokerage like human trafficking,’ in Korean society.
Synopsis
Ran, a friend of Chaw, was killed by an accident. However, the police conclude that Ran committed suicide without reasonable investigation and Chaw cannot accept their conclusion. Chaw discovers Ran’s diary while arranging her stuff. After reading her diary, Chaw thinks Ran did not commit suicide. She starts lonely fight for finding out cause of Ran’s death but nobody understands her. After reading Ran’s diary, she finds out that what life Ran had lived before she died. However, unfortunately, Ran stopped writing a diary three days before she died.
The Series of Unrespected Death’ (plan/writing/directing: Park Kyong Ju)’ refocusing on migration and death has dealt with stories of Korean miners dispatched to Germany, foreign migrant workers in the Yeosu Detention Center, one migrant woman who died after international marriage like human trafficking, and ‘refugees’ and ‘people on the margins’. The series that migrant people themselves, not professional actors, have told their stories on the stage will close its theatrical experiment with refocusing on the issue of multiculturalism.
“결혼 할 때부터 공항에 갈 때까지 나에게는 기쁨이 없다. 가족에게 걱정만 주고 미래에 대한 걱정 만 걱정만 만들었다. 남편과 이혼하면 난 베트남에 갈 수 있고 가족과 친구들을 만날 수 있어서 기쁘다. 하지만 이웃들은 나를 어떻게 볼까? 그들이 물을거야 그들에게 어떻게 말해야 할까? 엄마가 나 때문에 마음이 아프고 병이 더 심해지면 어떡하지? 나는 나중에 어떻게 되어도 상관없지만 엄마가 걱정된다.”
“그들이 마음에 안 들면 그들은 소리를 지른다. 소리를 질러도 나는 안 무섭다. 그들이 이렇게 나를 괴롭혀도 나를 비롯한 베트남 여자들은 안 무서워 할 걸”
“왜 나를 그렇게 무시해? 나랑 결혼해서 데리고 왔는데 왜 마음대로 결혼하고 마음대로 이혼해?” – 란의 일기 발췌
– 제목: 란의 일기
– 기획/제작: 샐러드
– 제작년도: 2011년
– 초연: 2011년 5월 22일 ~ 24일 (문래예술공장 박스시어터)
– 공연시간: 90분
– 기획/극작/연출: 박경주
– 음악감독: 볼프강 인데어 비쉐
– 영상감독: 석성석
– 조명감독: 이재성
– 안무: 유꼬가세끼
– 의상: 박경주
– 무대 및 소품: 박경주
– 분장: 테라 호유
– 출연: 김계화, 다시마 프롭, 로나드마테오, 비제 구릉, 아리나, 유병선
– 후원: 서울문화재단, 언더그라운드 아트채널
‘란의 일기’는 국경을 넘는 여성으로서 한 인간의 존경받지 못한 죽음을 통해 이주의 문제를 풀어내고자 기획됐다. 인신매매성 국제결혼이라는 위험한 장치를 통해 국경을 넘어야 하는 이주여성의 죽음에 관한 보고서 ‘란의 일기’는 가공의 이주여성 란을 통해 문화적 몰이해와 우리만의 가족주의 속에서 고통스럽고 불안한 삶을 살아야 하는 이 시대의 여성의 이야기 한다. 그러나 이주여성을 ‘불쌍한’ 또는 ‘피해자’라는 억압받는 자로서의 표현하지 않는다. 오히려 ‘란의 일기’는 한국 사회에서 ‘남자의 환상’과 ‘여자의 환상’ 이 어떻게 ‘인신매매성 국제결혼 중개업을 통한 혼인’ 이라는 반사회적 장치 안에 혼돈 상태로 뒤엉켜있는지 성인의 시선으로 진실되게 풀어내려 한다.
줄거리: 차우의 친구 이주여성 란이 사고에 의해 사망했다. 경찰은 정확한 수사 없이 란의 죽음을 자살로 간주하고, 차우는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 란의 짐을 정리하다 우연히 일기를 발견하게 된 차우는 란의 죽음이 자살이 아니라고 확신한다. 차우는 란의 죽음의 원인을 찾기 위해 외로운 싸움을 시작하지만 이런 마음을 받아 주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란의 일기를 읽으며 란이 죽기 전에 어떤 생활을 했는지 알게 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일기는 란의 죽음 삼일 전에 멈춰있다.
- 이주민 배우들이 밝혀내는 ‘필리핀 새댁의 죽음’, 한겨레 신문, 2011-05-17
- Immigrant actors reveal the ‘death of a newly married Filipino’, The Hankyoreh, 2011-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