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ries of Unrespected Death 4
The Series of Unrespected Death Ⅳ
2012 Official invitation performance of the Seoul Marginal Theater Festival
Supported By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2012 Official invitation performance of the Seoul Marginal Theater Festival
Title: Future Story
Date: 8 pm on July 17th ~ 18th, 2012
Place: Seoul Art Space Mullae Box Theater, Seoul station, live broadcasting through the web (www.undergroundartchannel.net), Mae Sod thailand, Sendai Japan.
Duration: 90 min.
Co-production: Salad, Seoul Marginal Theatre Festival
Planning: Park Kyong Ju
Playwright/Direction/Video Edit: Park Kyong Ju
Choreography: Yuko Kaseki
Media director: Suk Sungsuk
Music director: Sato Yukie
Coordinator: Kyoung-hee Lim (Sendai, Japan), Mawoongjeo (Measot, Thailand), Dasima Preup (Seoul, Korea)
Light director & Stage design: Lee Jae-sung
Make-up: Terra Hoyoo
Translation: Jeon Hayan
Technical staff: Park Dong-myoung, Kim Seul-gi , Lee Hyongwoo , Park Chulwoo, Goh Sangsuk
PR: Song-i Han, Hyoung-ju Park
Documentary Video & Photography: Yuko Kaseki, Park Kyong Ju, Gwangsoo Kim, Kyoung-hee Lim, Mawoongjeo, Dasima Preup, Tsendsuren Bayarsaikhan
Advisor: Hae-ryong An (documentary Photographer), Seong-in Kim (secretary general, NANCEN), Joon-seong Han (researcher, Institute of Peace & Unity)
Sponsor: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AMC Project of Underground Art Channel, ThaByae, NANCEN
Cast: Kyoung-hee Lim (a third-generation Korean Japanese), Mawoongjeo (a refugee residing in Korea), Bok-ju Kim (artist defected from North Korea), Lorna De Mateo, Dasima Preup, Band Kopchangjeongol (Sato Yukie, Ito Koki, Akai Kojiro), Kyongju Park, Sookbata Sarangerel, Arionjargal Namgerel, Myeong-hee Kim, students of Tohoku Joseon School in Sendai, Japan(Seungdae Kim, Seeah Lee, Eunah Gang, Gangsil Seuh, Yunwha Jo, Gyuleui Choi, Suchul Tae, Deasim Lee, Euwha Kim), Myanmar Jamoojja Ethnic School in Maesot of Thailand(Kyaw Win Tun, LwinMyo, Aung Htet Naung, Zay Zay Kyaw Oo, Kyaw Htay, Min Khine Nyein, Zin Ko Oo, Thein Min Soe, Ya Min Nanda Zaw, Phyu Sin Oo, Ya Min Htwe, Lae Lae Htoo, Tha Zin Ko Ko, Myat Ei Soe, Aye Chan Thu, Hnin Ei Shone, Sanda Cho), and Mongolia School in Korea (Dulguun Telmuun, Altankhuyag, Chinbaatar, Khulan, Buyantogtokh, Bat~Amgalan, Batbuyan, Sanchir, Bilguun)
Introduction
Future Story started in the Seoul station at 3 pm on April 25th. At that time, Salad planned to do guerilla performance in the Seoul station as a result of a creative workshop with a theme of ‘refugee.’ However, accidently, North Korea’s broadcasting towards the South that the military action will start within 3~4 minutes for celebrating the 80th anniversary of the national foundation was aired through the MBN news on the central TV monitor in the Seoul station when members of Salad arrived to prepare for performance. Participants suddenly felt fear that they would become refugees. The performance was canceled and the play was done in the road. The director continued the second, third, and fourth workshops with students of Tohoku Joseon School located in Sendai, Japan, Burmese Ethnic School in Maesot of Thailand, and Mongolia School in Korea. finishes as the guerilla performance canceled in the Seoul Station is shown through the Seoul Marginal Theater Festival 2012 and lively broadcasted with refugees of Japan, Thailand, and Korea.
The Series of Unrespected Death’ (plan/writing/directing: Park Kyong Ju)’ refocusing on migration and death has dealt with stories of Korean miners dispatched to Germany, foreign migrant workers in the Yeosu Detention Center, and one migrant woman who died after international marriage like human trafficking. In the fourth installment, Future Story, the series, in which migrant people themselves, not professional actors, have told their stories on the stage will close its theatrical experiment with refocusing on the issue of ‘refugees’ and ‘people in a marginal line.’ is a kind of road play that play, movie, and public art are combined. The director Park Kyong Ju goes a road trip with a camera to meet people in a marginal line in Sendai of Japan hit by tsunami and a Myanmar refugee camp in Thailand.
Copyright of all images Ⓒ Park Kyong Ju
존경받지 못한 죽음 시리즈 4
2012 서울변방연극제 공식 초청작
미래이야기
난민 ▪▪▪▪▪▪ 공포
공동제작: 샐러드, 서울 변방연극제
제작년도: 2012
기획/ 극작/ 연출/ 영상편집: 박경주
초연: 2012년 7월 17일~ 18일 오후 8시 (제14회 서울 변방연극제)
장소: 문래예술공장 박스시어터, 서울역, 태국 메솟, 일본 센다이, 웹 동시 생중계 (http://www.undergroundartchannel.net)
길이: 90분
움직임: 유코 가세키
음악감독 : 사토 유키에
코디네이터: 임경희(재일교포 3세, 일본 센다이), 마웅저(재한 난민, 태국 메솟)
영상감독: 석성석
조명감독: 이재성
영상 및 사진자료 촬영: 유코 가세키, 박경주, 마웅저, 로나 드 마테오, 다시마 프릅
분장: 테라 호유
기술스태프: 박동명, 김슬기, 이형우, 박철우, 고상석
홍보: 한송이, 박형주
자문: 안해룡(다큐멘터리 작가), 김성인(난민인권센터 사무국장), 한준성(북한연구소 연구원), 김광수(일본 센다이 도호쿠 조선초중고급학교 미술교사)
후원 서울문화재단, 언더그라운드아트채널 AMC 프로젝트, 따비에, 난센
출연진: 임경희(재일교포 3세), 마웅저(재한 난민), 김복주(탈북예술인), 로나 드 마테오, 다시마 프릅, 락밴드 곱창전골, 박경주, 숙바타 사랑게렐, 아리온자르갈 남게렐, 김명희, 일본 센다이 도호쿠 조선초중고급학교 학생들(김승대, 리시아, 강은아, 서강실, 조윤화, 최결의, 태수철, 이대심, 김유화), 태국 메솟 버마 사무터 민족학교 학생들(냐인 참, 쩌윈툰, 륀묘, 아웅 태 나웅, 제이 제이 쩌우, 쩌테이, 민카이 냐인, 진꼬우, 따인 민솔, 얏민 난다저,퓨진우, 얏민튀, 레레투, 다진꼬꼬, 먀악 익솔, 에이참뚜, 닌익송, 산다초), 한국 몽골학교 학생들(알탕 호약, 침바트, 호랑, 보얀덕더흐, 바트 아마릉, 바트보양, 산칠, 빌궁델뭉 들겅)
‘존경받지 못한 죽음’ 시리즈(기획/극본/연출: 박경주)’는 전문 배우가 아닌 이주민 자신이 무대 위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시리즈로써 이주와 죽음에 초점을 맞춰 독일로 파견된 한국인 광부들과 여수외국인보호소 화재로 사망한 이주노동자들, 이후 인신매매성 국제결혼으로 입국한 이후 사망한 이주여성의 이야기를 다뤘다. 4부 <미래이야기>는 ‘난민’과 ‘주변인’의 문제에 다시 초점을 맞추며 연극적 실험을 마무리하는 연극과 영화, 공공미술이 결합된 일종의 로드연극이다. 연출자 박경주는 재한 몽골인 학교와 쓰나미로 피해를 입은 일본 센다이, 그리고 태국의 미얀마 난민캠프에서 한계선에 있는 사람들을 만나기 위해 카메라를 들고 여행을 떠난다.
존경받지 못한 죽음 시리즈 제 4편 <미래 이야기>는 4월 25일 오후 3시 서울역에서 시작된다. 샐러드가 ‘난민’을 주제로한 창작 워크숍의 결과물로 서울역에서 가벼운 게릴라 퍼포먼스를 진행하기로 한 시점이었다. 그러나 우연히도 샐러드 단원들이 퍼포먼스를 준비하기 위해 도착한 서울역 역사 내 중앙모니터에서는 북한 혁명 80주년 기념일을 맞아 북한이 ‘3~4분내에 남한을 초토화 하겠다’는 대남 방송을 내보내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갑자기 우리 모두 ‘난민’ 이 될 수 있다는 ‘공포’에 휩싸였다. 작품의 주제가 외부에서 우리를 급습한 순간이었다. 샐러드의 퍼포먼스는 취소됐고 연극은 로드 연극으로 진행되었다. 연출자는 일본 센다이 도호쿠조선초중고급학교 학생들, 태국 메솟지역 버마민족학교 학생들, 한국 몽골학교 학생들을 만나 제2, 제3의 워크숍을 진행했다. <미래 이야기>는 제14회 서울변방연극제 초연에서 무산됐던 서울역 게릴라 퍼포먼스를 일본과 태국의 버마 난민과 함께 동시에 생중계로 진행한다. 공연에는 한국 몽골학교 학생들이 퍼포머로 참여한다. (생중계 홈페이지 언더그라운드아트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