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ychological Map of Migration

Shin Hyunjin (Independent curator, 2005)

The process of integration into a new culture is bound to involve with a tug-of-war process towards relation establishment.

There is a saying that ‘If you go abroad, you become a patriot.’ This is not true. It is only a reaction that psychological mechanism for self-protection induces when one fears against the strangeness in a foreign country and against the awareness that nobody can protect you there.

Once you step into a foreign culture, whether you like it or not, you have to go through the process for relation building between you and the world. And it includes a series of decision-makings on such elements as superior-inferior, distance and behavioral sets. Regardless of how comfortable lives you have enjoyed in your country, the new environment would enforce you to adjust to ‘your new ranks’ in the context already fixed in the foreign culture. Unless the process for relation setting is smoothly wrapped up, endless arguments and struggles would follow. When people of foreign born are categorized as outsiders, you would like to speak out the excellence of ‘your group’ in order to hold the legitimate position you aspire by proving ‘your’ superiority or equivalence.

Such process of relation building on personal levels starts with an investigation. What is your name? Where are you from? What did you study? What kinds of work are you doing in this country? You ask, answer (or presume) such questions on identity and discern the position of yourself and the others. Communication skills contribute a lot in the procedure. Close-to-perfect language skill in the country can provide you with fair opportunity to compete with native speakers, the ones who are articulate. Native speakers often don’t afford patience to listen to the values in the ‘awkward tongues’ and don’t have courage to give in their advantageous latitude. While the process for interpersonal relation-building is based on communication, the relation establishments between native and foreign groups are decided, according to psychologist Jung, by prejudices or collective unconsciousness that are engraved onto the group’s gene. So it is not likely people of foreign born are fairly positioned in social hierarchy that they can acknowledge for themselves, then they start to harbor wraths as victims against natives.

Artists materializing their migration experiences share certain stages according to their years abroad. First, they turn their attentions to their identities since natives in foreign countries often ask them such questions as “Where are you from?” Therefore, their art works have been based on discourses of identity, one of major issues in the field of arts in recent years. Next, artists often use such motives signifying traditions of their mother lands. While those attempts arouse temporary interests in international art markets,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y can make strong impact enough to influence collective unconsciousness of natives in foreign groups in order to improve the relation. And also it would take a long time to reduce prejudices in each group’s unconsciousness with such works. Therefore, artists, then, take activist strategies as an effort to integrate with native cultures in order to, finally, arrive at their ‘deserved’ positions. They, at the same time, realize the difficult assignments on the road to their destination: to change the collective unconsciousness of both themselves and the group they aspire to belong to.

Art of  Park Kyong Ju: Migration, Unequal Relation between Foreign and Native Groups and Her Strategy

Artist Park Kyong Ju has experienced herself the life of a ‘stranger’ in a foreign land when studying at Braunschweig and Berlin, Germany, and has materialized her experience of migrants and discriminations through photographs, videos, and performances. ‘Applicants (1999)’ are a series of photographs of migrants who visited the office of Immigration Bureau in Berlin for residency permission interviews. The Immigration Bureau office is the place where migrant workers should prove that their residencies do no harm to Germany, even beneficial. They dress themselves up in clean and nice outfits and spend many hours in front of mirrors to practice their answers for the interviews. This office is the place where most foreigners experience humiliations and angers. I understand that Park provided the visitors to the office opportunities to express themselves. Migrant workers in her photographs, knowing already that their pictures would be displayed in a museum, pose in confidence wearing bright smiles. It would probably a comfortable smile that the migrants (or victims) most wished to show to the natives (or assailants) in order to prove their superiority or equivalence at least. 

Ms Park, then, comes up with ‘Memories of Germany (Video Installation, 2000),’ a documentary on lives of Korean miners and nurses in Germany. She completed the film while working as a secretary of the Korean Association in Berlin. However, since both ‘Applicants’ and ‘Memories of Germany’ have ‘denouncing elements’ in choosing subjects, that is, compiling cases of victims and reporting them to the audience, I would rather call them as ‘passive strategies’ compared to her later works in Korea.

Returned-to-motherland ‘foreigners’ again become natives in their countries and they often don’t pay attention to the lives of migrant workers in their homelands. However, it was when the number of migrant workers in South Korea has already increased to around 300,000 by the time she returned, and Park realized that she can be one of assailants in her homeland, South Korea. Instead of forgetting her past in a foreign country, she deepened her layers of understanding on the relation between migrant workers and natives. She then yields ‘Where are you from?(2001),’ a video which shows migrant workers in Korea asking the question of ‘Where are you from?’ back to Korean audience. While the previous video work of ‘Memories of Germany’ has a documentary element, ‘Where are you from?’ is distinguished with its mischievous use of video editing. It displays fast changes of images since the pictures are cut and linked by each syllables. However, the video product falls into the dilemma between aesthetic decisions and messages: I was afraid whether the edited sound is lack of clarity to the audience since the linked syllables do not make a full clear sentence at once.

The music CD of ‘Migrant Workers’ Music Project – What is Life?(2002)’ marks her shift of tones from denouncing to neutral. She starts to embody cultural capacity or political potentials of migrant workers with the project. As Park has said, she completed the music project in order to disclose the lives and cultures of migrant workers in Korea and to prove their potential contribution to Korean cultures. For the project, she scouted Eureka, an independent rock band composed of migrant workers from Myanmar; completed a music CD with songs by migrant workers; and supported an official debut concert for the band. Here the artist has chosen more active way of communication with her audience than visual arts: pop music. She also extended her roles as an artist through planning, managing and publicizing the project. Categorizing migrant workers as one of social minority groups in Korea and establishing herself as a supporter for them, she overcame the assailant-victim enmity. Now artist Park Kyong Ju wishes to call herself a ‘cultural activist.’

The ‘Migrant Workers’ Election Campaign Performance (2004),’ as displayed in recent ‘Visual-Narrative’ exhibition at Savina Museum, Seoul, has video-recorded the opinions of citizens during the three-month election campaign acts nationwide where migrant candidates asking citizens on streets for votes. What has motivated the artist to have such a strong will to overcome her own prejudice against migrant workers and to recognize legitimate status of migrant workers in Korea?  An answer can be found in her performances in which she stages election campaign even though migrant workers are not eligible for election at the moment. By introducing new idea against migrant workers in a way in which is ambiguous enough to judge the idea may or may not probable at this time, she cleverly allows a positive accommodation for a future where we respect migrant workers’ political rights.

Among those working on the theme of migration, artist Park Kyong Ju is outstanding in her efforts to share a mature progress overcoming discourses of identity and the victim-aggressor conflicts.  I believe that discords between different cultures lies in the fact that we have innate fear for and prejudices against each other even before the first encounter. By showing an aspect of a possible future of coexistence, Park wishes to convert the first stressful collide into a peaceful one: in other words, planting a ‘positive bias.’ (2005)

이주의 심리지도

신현진(독립 큐레이터, 2005) 

만남은 나와 상대방 사이의 관계 설정을 위한 줄다리기의 과정을 포함한다.

외국에 가면 모두가 애국자가 된다는 말이 있다. 이는 다 거짓말이다. 단지 외국 땅에 내렸을 때 느껴지는 알지 못하는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 누구도 나를 보호해 주지 못한다는 상황에서 오는 공포에 대한 자기 방어기재일 뿐이다. 타인의 세계에 발을 들여 놓으면 자신 이 좋던 싫던 간에 타인과 나 사이의 관계를 성립하는 과정을 거치게되고 새로이 체험하는 대상과 나 사이의 우열과 거리, 행동양식 등을 설정하는 단계를 거치게 될 수밖에 없다. 얼마나 자신의 세계에서 편안한 삶을 누렸건 간에 새로운 환경은 그 환경이 가지는 맥락 안에서의 나(이방인)의 위치를 설정 하도록 강요할것이며 이 과정이 순탄하게 종료되지 않는다면 끝없는 논쟁과 투쟁을 수반하게 된다. 이방인은 소외 계층이 된다는 전제조건에서 이 이방인은 자신이 원하는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그리고 자신의 우월성을 혹은 동등함을 증명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자신이 소속된 그룹의우수성을 말하고자 하는 것뿐이다. 얼마나 한국이 발전된 선진국의 일원이며 훌륭한 문화유산을 가진 나라인가를 밝히는 동시에 자신이 그 집단의 일원임을 밝히는 것은 당연하다.

이러한 과정은 보통 먼저 상대방의 정보를 캐내는 탐색전으로부터 시작된다.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어느 나라 사람입니까? 어디서 왔습니까? 무엇을 공부했습니까? 현재 이 나라에서 하는 일이 무엇입니까? 등의 정체를 묻고 대답하며 (혹은 지레 짐작하고는) 상대방과 자신의 위치를 가늠한다. 탐색전 과정 중에서 의사소통 능력은 이방인의 위치를 자리매김하는데 크게 기여한다. 완벽한 언어를 구사해야만 모국어를 구사하는 홈그라운드의 이점을 갖고 있는 내국인들과 동등한 위치에서 비교될 수가 있다. 내국인들은 이방인의 어눌한 언변 속에 파묻혀있는 가치를 굳이 찾아내고자 하는 시간상, 감정상의 여유가 없기 때문이며 상대(이방인)방과의 관계설정과정에서 굳이 자신보다 유리한 위치를 저버릴만큼의 참을성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개인과 개인 간의 과정이다. 내국인과 이방인집단과의 관계는 편견이나 융의 이론에 의하면 유전자에 이미 각인되어 있다고 하는 집단무의식에 의해 결정된다. 이방인은 자신이 인정할 수 없는 사회적 지위에 위치하게 되고 여기에서 이방인은 내국인을 가해자로 하는 피해자로서의 분노가 싹트기시작한다.

이주의 경험을 작품화하는 작가들의 대부분의 경우는 외국 체류기간의 길이에 따라 어느 정도 보편적인 과정을 밟아나간다. 먼저 이방인으로서 타국의 내국인으로부터 ‘자신이 누구인가(Where are you from?)’라는 질문을 지속적으로 받으면서 자신의 정체성에 관심을 갖게 된다. 이들의 작업은 그래서 최근 몇 년 전까지 가장 큰 이슈의 하나였던 정체성을 둘러싼 담론을 반복하기가 십상이었고 그 다음 단계에서는 모국의 고유한 전통을 상징하거나 함유하는 모티브가 자주 사용되는것을 발견한다. 이러한 성향들은 국제적 미술시장에서 순간적인 관심을 사게 되나 이러한 모국의 과거에서 출발하는 작업으로의 순간적 대응은 내국인 일반이 가지는 집단의 무의식을 바꾸기에는 영향력이 미비하거나 오랜 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이방인 작가들은 다음단계로 행동주의자적 행로를 밟거나 내국인과 동화되고자 하는 노력으로 자신의 정당한위치를 찾아가려 한다. 그러나 이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자신은 물론 자신이 속하고자 하는 집단의 무의식까지 변화시켜야 하는 무거운 짐을 발견하게 된다.

박경주의 작업: 이주, 이방인과 내국인과의 불균형한 관계, 대응

박경주 또한 독일 브라운슈바익 예술대학교와 베를린예술대학교를 다니면서 이방인으로서의 경험을 체험한 작가이며 이주, 이방인, 차별대우에 대한 이방인의 입장을 사진, 비디오, 퍼포먼스 작업으로 표현해왔다. <참석인(1999)>은 박경주가 독일 내 이방인들이 반드시 거쳐야 하는베를린의 출입국관리소에서 체류허가 심사를 받으러 온 외국인들을 찍은 전신사진 시리즈이다. 출입국관리소는 외국인들이 독일정부에게 자신들의 독일거주가 독일에 해가 되지 않음을 증명해야 하는 심판대이다. 이들은 이곳을 가서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 가장 좋은 옷을 차려입고자신이 할 말을 미리 연습한다. 이곳은 이방인이라면 모욕과 분노를 가장 크게 느끼는 곳이었고 박경주가 이들의 모습을 찍는다는 것은 이들에게자신의 입장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으로 해석된다. 자신의 모습이 전시장에 진열될 것이라는 것은 미리 알고 포즈를 취한 사진 속의 이방인들은 모두 자신감 있는 표정을 지으며 입가에는 환한 미소를 짓고 있다.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 이들이 가해자인 내국인들에게 가장 보여주고싶은 모습은 이들보다 우월하거나 적어도 동등하게 보이는 여유 있는 미소였을 것이다. 이후 그는 재독한인회 사무국장으로 일하며 재독 광부, 간호사 등의 이민생활을 보여주는 <독일의 기억-파독광부 (비디오설치, 2000)>작업을 선 보였는데 파독광부와 간호사들이 독일인들에게서 받은 인종차별적, 냉대의 기억을 담고 있다. <참석인>과 <독일의 기억-파독 광부> 작업은 그 주제에 있어서피해자 사례를 수집하고 관객에게 고발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는 그가 제작한 한국에서의 후기 작업에 비하면 부정적인 측면을 드러내는 소극적인 대응이었다.

본국으로 돌아 온 이방인들은 내국인의 입장이 되어 내국인들만의 세계에서 이방인의 입장을 잊고 지내기 마련이다. 그러나 그가 돌아온 한국은 30만 이주노동자의 존재가 사회문제로 떠오르기 시작한 즈음이었다. 자신이 가해자의 입장에 서있음을 자각한 그의 이방인과 내국인에 관련된 이해의 층위는 더욱 깊어졌으며 이방인과 내국인이라는 양쪽 모두의 이해에서 출발하는 작업 <Where are you from(2001)>을 발표한다. 이 작업은 한국 내 이주 노동자들에게 어디에서 왔느냐는 질문을 우리에게 되돌려 묻도록 하고 있다. 관객의 답변을 요구하는 이 작업은 이전의 작업이 기록적인 요소가 강한데 반하여 비디오편집의 활용이 눈에 띤다. 여러 사람이 말하는 “Where are you from”의 각 음절에 따라 이미지를 잘라서 편집되었기 때문에 이미지의 급박한 변환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이 작업에서 드는 생각은 서로 다른 사람들의 목소리가 이어 붙여진 문장이 처음에는 잘 알아들을 수 없기 때문에 쉽게 메시지 전달되지 않지 않을까 하는 우려다. 그의 작업 또한 메시지전달이 우선을 차지하는 행동주의적 작업에서 자주 보여 지듯이 예술 작업제작 과정상 요구되는 미학적 결정과 메시지의 전달사이의 밸런스라는 딜레마가 존재한다.

2002년 제작된 <인생이란?-이주노동자 뮤직 프로젝트'(What is life?, 2002)> 작업에서는 박경주는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일반적으로 갖는 질책적 태도에서 이방인의 문화적인 힘이나 정치적인 잠재력을 보여주는 중립적 작업 방향으로의 전환을 보인다. 이주 노동자들의 삶과 문화를 널리 알리기 위해 음반을 구상했다고 하는 박경주의말을 빌면 이 작업 또한 한국민들에게 이주 노동자들의 가치를 증명하고자 한 의도로도 해석할 수 있다. 이 프로젝트에서 그는’유레카’라고 하는 미얀마 국적의이주 노동자들로 록 밴드를 발굴하고 이들이 직접 한국어 가사까지 붙여 만든 곡을 모아 음반을 내고 프로페셔널 가수로서 공연 할 기회를 만들어주었다. 음악이라는 관객이 비교적 쉽게 즐길 수 있는 장르를 선택, 관객과 적극적인 소통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여기서 그는 기획, 진행, 홍보역할을 맡아 작가로서의 자신의 역할을확대하고자 한다. 한국에서 살고 있는 이방인을 소수자(집단으)로 상정하고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를 넘어서서 지원자의 관계를 확립한 박경주는 이제 그녀 자신을 문화 활동가로 부른다.

최근에 사비나 미술관이 기획한 <시각서사> 전시에서 선보인 <이주노동자 선거유세 퍼포먼스(2004)>에서 그는 김티톤이라는 외국인노동자가 지자체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거리유세를 펼치는 상황을 설정하고 선거 운동원들과 함께 선거문구를 가득 붙인 유세차량으로 지난 12월 한 달간 창원, 안양, 대구, 대전 시내를 돌아다니면서 지역주민의 생각과 표정을 비디오에 담았다. 이방인에 대한 혐오를 극복하고 이들의 합당한 자리를 인정하겠다는 의식과 의지를 갖게 하는 동기는 무엇일까? 박경주는 본 퍼포먼스를 통해 그의 해답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로서는 실현가능성이 소원하지만 우리가 이방인의 정치권을 인정하고 살아가는 미래상을 가능성과 불가능성의 애매모호한 접점에서 제시함으로써 긍정적인 수용을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박경주의 작업이 이주의 경험에서 비롯하여 제작되는 다른 작가의 작업과 다른 점이 있다면 정체성 담론의 쳇바퀴속에서부터 그리고 피해자 가해자의 갈등구조로부터 벗어나 성숙된 행로를 공유하고자한다는 점에 있다. 이방인과의 문제는 이들의 첫 만남에서부터 서로에게 향한공포와 편견을 안고 만나게 된다는 점에 있다고 본다. 박경주는 이러한 미래상을 엿 보게 함으로서 인종차별 현실의 문제 해결을 위해 부정적 질책이 아닌 문제의 시발점인 첫 만남을 평화로운 것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긍정적인 편견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 본 원고는 박경주 작품집 <이주 + 노동 + 문화행동>(2005)에 실린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