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Performance about Artistic Labor, 2015
SOS business development cost
The result of the business development cost review was announced. CEO Park Kyong Ju applied for a business development subsidy of 30 million won, submitting details of professional musical actors and arrangements, record production, stage production, and premiere performances at professional theaters, befitting the open-run repertoire development. However, the amount decided by the deliberation committee was 13 million won. What the judges thoroughly excluded from the budget was the entire labor cost of art workers. It means that the deliberation committee will not support the labor costs of the cast, director, and stage staff at all. The performances that can be performed with the approved items are as follows: Existing musical songs are splendidly arranged with composers. We make a splendid musical stage for an open-run performance and set up the stage by producing props. The lighting just turns on the one in the existing theater. The composer goes on stage and plays 7 arranged songs beautifully. Composers are not paid a separate performance fee. The performer turns the lights on and off directly. In the theater, there are only spectators and composers. The directing department, actors, and technical staff are all absent because they cannot receive labor costs. end.
(Salad’s long-cherished business. Can the production of an open-run repertoire come true? Will the president be able to open his pockets again? Will there be anything left in Boss’s pockets?)
Copyright of image and Text Ⓒ Park Kyong Ju
20150520 SOS 사업개발비
사업개발비 심사 결과발표가 나왔다. 오픈런 레퍼토리 개발이라는 지원서의 타이틀에 맞게 전문 뮤지컬 배우와 편곡, 음반 제작, 무대제작과 전문 공연장에서의 초연을 세부내역으로 제출하면서 3000만원의 사업개발 지원금을 신청했다. 그러나 심의위원회에서 결정한 금액은 1300만원. 예산안에서 철저하게 제외된 것은 바로 예술노동자들의 인건비 전액이었다. 출연진, 연출자, 무대 스태프들의 인건비를 일체 지원하지 않겠다는 것. 인정받은 항목으로 할 수 있는 공연은 이렇다. 기존 뮤지컬 곡을 작곡가와 함께 화려하게 편곡한다. 오픈런 공연을 할 수 있게 화려한 뮤지컬 무대를 만들고 소품을 제작해 무대를 셋업한다. 조명은 기존의 극장에 있는 것을 그냥 켠다. 작곡가가 무대에 올라 편곡한 곡 7개를 아름답게 연주한다. 작곡가에게는 별도의 연주 사례비가 지급되지 않는다. 연주자는 직접 조명을 켜고 끈다. 극장에는 관객과 작곡가만 있다. 연출부와 배우들, 기술스태프들 모두 인건비를 받을 수 없어 부재 중이다. 끝.
프로젝트명: 유유유 프로젝트
컨셉 & 연출: 박경주
촬영 & 편집; 박경주
문의: 02 2254 0517 (샐러드의 숙원사업. 오픈런 레파토리 제작은 이루어 질 수 있을까요? 사장은 이번에도 자신의 주머니를 열 수 있을까요? 주머니에 뭐가 남은 것이 있긴 할까요?)